스마트폰과 온라인 플랫폼의 보편화로 인해 영상통화사기와 화상통화사기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범죄로 자리 잡았습니다.
단순한 대화에서 시작해 피해자의 얼굴과 신체가 노출된 화면을 캡처하거나 녹화해 협박하는 방식이 주류입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범죄 수법, 피해자의 반응 패턴,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살펴보고 예방 방법을 함께 정리합니다.
영상통화사기, 어떻게 이루어지나?
영상통화사기는 보통 랜덤채팅이나 SNS에서 시작됩니다.
가해자는 친근하게 접근한 후 영상통화를 요청하고, 녹화된 장면을 협박 도구로 사용합니다.
피해자는 “지인에게 영상을 뿌리겠다”는 위협에 공포심을 느껴 송금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낯선 계정 접근 → 대화로 신뢰 형성
영상통화 유도 → 화면 캡처 및 녹화
협박 메시지 발송 → 금전 요구
화상통화사기, 교묘한 심리전
화상통화사기는 회의용 플랫폼이나 온라인 수업 툴까지 악용됩니다.
범죄자는 업무·학습 상황을 가장하거나 친밀한 대화를 통해 피해자를 유도한 뒤, 화면을 기록해 협박합니다.
특히 "삭제 비용"이라는 명목으로 돈을 요구하거나, 합성 영상을 만들어 협박 수위를 높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화상통화사기의 주요 특징
공식 플랫폼 위장으로 신뢰성 확보
영상 녹화 또는 합성 기술 활용
송금 이후에도 추가 요구가 이어짐
피해자가 자주 하는 실수
영상통화사기와 화상통화사기 피해자들은 비슷한 실수를 반복합니다.
즉시 송금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음
대화와 협박 증거를 삭제 → 수사에 필요한 자료 상실
혼자 해결하려다 대응 시기를 놓침
단계별 대응 지침
아래 단계별 지침은 실제 피해 상황에서 참고할 수 있는 대응 매뉴얼입니다.
단계 | 실행 행동 | 목적 |
---|---|---|
1단계 | 협박 메시지·송금 계좌·영상 자료 캡처 | 증거 확보 및 법적 대응 준비 |
2단계 | 송금 거부 및 가해자 차단 | 추가 협박 방지 |
3단계 | 비밀번호 변경, 2단계 인증 적용 | 개인 계정 보안 강화 |
4단계 | SNS·메신저 신고, 검색 차단 요청 | 영상 확산 최소화 |
5단계 | 사이버수사대·KISA 신고 | 삭제 지원 및 법적 보호 |
Q&A | 영상통화사기·화상통화사기
Q1. 돈을 보내면 협박이 멈추나요?
대부분 멈추지 않고 추가 요구가 이어집니다. 송금은 해결책이 되지 않습니다.
Q2. 영상이 실제로 유포될 확률은 높나요?
일부는 단순 위협이지만, 실제 유포 사례도 있어 안일하게 대응해서는 안 됩니다.
Q3. 화상통화사기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낯선 계정의 영상통화 요청, 투자·삭제 비용 요구, 합성 영상 제시는 사기의 신호입니다.
Q4. 해외 계정이 협박할 때도 신고할 수 있나요?
네. 플랫폼 내 신고 기능과 국내 기관 접수를 통해 차단·삭제 요청이 가능합니다.
기억해야 할 포인트
영상통화사기: 짧은 통화 화면 캡처 후 협박
화상통화사기: 업무·학습 도구를 가장한 접근, 합성 영상까지 활용
대응 순서: 증거 확보 → 송금 거부 → 보안 강화 → 기관 신고
지금 필요한 행동
영상통화사기와 화상통화사기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범죄입니다.
두려움 때문에 송금하지 말고, 증거를 확보해 전문가와 기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피해를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혹시 비슷한 상황에 놓였다면 지금 바로 대응 절차를 실행해 안전을 지키시길 권장합니다.